블로그 이미지
이비그치면

태그목록

최근에 올라온 글

최근에 달린 댓글

최근에 받은 트랙백

글 보관함

calendar

1 2 3
4 5 6 7 8 9 10
11 12 13 14 15 16 17
18 19 20 21 22 23 24
25 26 27 28 29 30 31

우리말겨루기 661회 십자말풀이


작은 번호(clue no)칸을 클릭하여 문제힌트를 보고 빈칸 클릭하여 커서를 위치시킨후

답을 입력하고 입력하기 버튼을 누르시면 됩니다



번호



문    제



비고


1


ㅁㄱㄱ

여러 깃발


[초성완성]


2


ㄴㅇㄷㅅ

돌아다니다



3


ㅂㄹㅅㅈ

중고품


4

ㅅㅌㅂㅇ

농산물


5


(수량을 나타내는 말 뒤에 쓰여) 실, 헝겊, 종이, 새끼 따위의 길고 가느다란 조각을 세는 단위.


□□□

6


남의 말이나 행동을 막을 때 쓰는 말.

- ' □□, 내 말 좀 들어 봐'


감탄사

7


모자람이 없이 온전하게

- 이 시간만은 □□□ 치코와 나만을 위한 시간이고 싶어...'



부사,

공통 쓰기


8


말이나 행동이 형편에 맞거나 조리에 닿지 아니하다.


□□□□

9


어두운 남색


□□

한자어

10


[속담] □□□은 떨어진 데 또 떨어진다.



11


맞춤법에 틀린 말을 골라 바르게 고치시오.

①헌칠하네 ②가나오나 ③쪼물쪼물 ④일찌거니


공통 쓰기

12

어떤 분위기나 감정 따위가 가장 높은 정도에 이른 상태.


□□□

13

□□□ □□ □□ :

[비유] 별로 기대할 것이 없는 것에 희망을 걸고 있을 필요는 없음.


속담

14


[비유] 개인이나 집단이 미래에 성공하거나 발전할 수 있는 바탕이 될 만한 것.


□□

15

□□□ □□□:

어떤 사물이나 사람이 적임자와 견결되어 능력이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게 되다.


관용구

16


크게 부르짖어 열변을 토하는 연설.


□□□

17


1) 어떤 목표물에 주의를 집중하여 보다.

2) 어떤 일에 온 정신을 모아 자세히 살피다.


동사 기본형

18


비밀,  약속,  기호



□□

연상 쓰기


19


하늘과 땅 사이에 가득 찬 넓고 큰 원기.


□□□□

20


놀랍고 신기한 데가 있다.

- '그는 이번 경기에서 □□□□ 기록을 세웠다.



형용사 기본형


21


대대로 그 땅에서 나서 오래도록 살아 내려오는 사람.

- '그는 이 마을 □□□로 이곳의 변화를 보며 자랐다.'



□□□


22


[비유] 어떤 현상이나 존재의 바탕이나 기초


□□□

고유어

23


그대로:


□□□

음절 조합

24


서로 적의를 품고 드러나지 아니하게 다툼.


□□

25


바른 말 고르기:


도둘

오둘

토둘

우둘

투둘


□□□□

26


사람이나 동물을 가슴에 붙도록 안다.

- '어머니가 아기를 □□□ 적을 먹인다'


동사

기본형

27


□□ 을 디디다, □□ 을 밟히다

관용구,

공통 단어

28


신□□,  □□가,  □□왕


겹낱말,

공통 단어.

29


바른 말 고르기:


내림

땅속

굽이

얼음

안쪽



□□□


30


[비유] 매우 깊거나 높은 모양.

- '□□□□의 아득한 절벽'



동점

쓰기

문제



우리말겨루기 651회 십자말풀이


작은 번호(clue no)칸을 클릭하여 문제힌트를 보고 빈칸 클릭하여 커서를 위치시킨후

답을 입력하고 입력하기 버튼을 누르시면 됩니다



번호



문    제



비고


1


ㄱㅈㄷㄱ

살림


[초성완성]


2


ㅇㄹㅁㅈ

갈피



3


ㅂㅈㅁㄴ

옷고름에 매다


4

ㄱㄱㅈㅇ

알뜰


5


□□ , □□ 기와집, 술 □□



[겹낱말]

[공통 단어]


6


어떤 까닭으로 생긴 일.



7


대수롭지 아니하고 예사롭게. 또는 탐탁하지 아니하고 데면데면하게.


[영상]

[공통 쓰기

8


세월이 가면 나이를 먹고 늙는다는 말.


[속담]

9


낮□□□, □□□시장


[겹낱말]

[공통 단어]

10


온갖 말을 다하여



11


표준어 어법에 맞지 않은 말을 골라 어법에 맞게 고치시오.

- 뜨끈한 국물이 일품인 ① 고깃국 , 양념한 ② 고깃소 를 넣어 만든 고기만두, ③ 고깃결 이 연해 입에서 사르르 녹는 ④ 고기쌈 을 준비했어.


[영상]

[공통 쓰기]

12

[비유] 허물이 없이 깨끗함.

- '그는 □□□□의 교육자였다.'


13

(주로 ' □□에' 꼴로 쓰여) 여럿이 있는 그 가운데

※ 그중 : 범위가 정해진 여럿 가운데


14


아주 잠시 또는 아주 적음



15

1) 이리저리 뒤집힘

2) 이리저리 뒤쳐 고침.



16


기본으로 삼거나 특별히 중심이 되게


[부사]

17


(명사와 명사 사이에 쓰이거나, 문장과 문장 사이에 쓰여) 어떤 사실을 더 강조할 때 쓰는 말.


[부사]

18


어떤 일을 촉진하려고 더하는 힘.




19


□□하다 : 어떤 물건이 층이 나지 않고 가지런하게 포개어져 가득하다.


[형용사 어근]

20


어떤 일이 벌어진 바로 그 자리.

- '마음에 드는 집이 있어 □□□□에서 계약을 했다'





21


변경:


[음절 조합]

22


언짢은 마음에 말이나 행동을 함부로 함.


23


(뒤에 오는 축측의 표현과 호응하여) 단정할 수는 없지만 미루어 짐작하거나 생각하여 볼 때 그럴 가능성이 크다는 뜻을 나타내는 말.


[부사]

24


어떤 사람이나 일 따위에 관한 기억이 떠오르다.


[관용구]

25


기운이나 기세가 올라가는 상황.



26


줄행랑을 □□□, 흥타령을 □□□



27


□□ □ 초장 같다, 얼어붙다, 낙숫물


[연상 쓰기 ]

28


무엇인가에 눈길을 주면서 오랫동안 떼지 않고 계속 보는 것.



29


1) 약간 달콤한 맛이 있다.

2) 흡족하여 기분이 좋은 데가 있다.

- '짭조름하면서도 □□□□한 게 맛있으니까 한번 드셔보세요.


[영상]

[공통 쓰기]

[형용사 어근]


30


1) 세상의 형편

2) 일정한 시가나 때



동점

쓰기

문제




우리말겨루기 652회 십자말풀이


작은 번호(clue no)칸을 클릭하여 문제힌트를 보고 빈칸 클릭하여 커서를 위치시킨후

답을 입력하고 입력하기 버튼을 누르시면 됩니다



번호



문    제



비고


1


ㄱㅁㅅ

밥 짓는 그릇


[초성완성]


2


ㄴㄸㄱ

널빤지



3


ㄷㅊㅁ

김치


4

ㅇㄴㅇ

도, 개, 걸, 윷, 모


5


1) 남이 잘 되기를 비는 말.

2) 주로 새해에 많이 나누는 말.





6


음역 정월 초하룻날 새벽에 부엌이나, 안방, 마루 따위의 벽에 걸어 놓는 쌀을 이는 도구로 그해의 복을 일어 얻기 위해 걸어 놓는다고 함.


[영상]

[공통 쓰기]

7


토끼□□, 돼지□□


[겹낱말]

[공통 단어]

8


여러 번 반복하거나 끊임없이 계속하여

- '밤을 새웠더니 □□ 눈이 감긴다'



9


한결같이 부지런하고 끈기가 있는 태도로

- '여러분의 사랑을 □□□ 받아 왔는데요.'


[공통 쓰기]

10


[비유] 모양이나 형편이 서로 비스하고 인연이 있는 것끼리 서로 잘 어울리고, 사정을 보아주며 감싸 주기 쉬움.



11


마음이 가라앉지 아니하고 들떠서 두근거리다.

- '처음 너를 만나던 그날 □□□ 5월의 아침'


[영상]

[공통 쓰기]

[동사 기본형]

12

1) 이미 한 일이나 앞으로 할 일에 틀림이 없음을 단단히 강조하거나 확인하다.

2) 마음이나 뜻을 굳게 가다듬어 정하다.


13

높아졌다 낮아짐


[음절 조합]

14


건너편에 있는 마을

- '큰 자식아 □□□□ 건너가서 너의 큰아버지 모셔 오너라'


[영상]

[공통 쓰기]

15

1) 제게 딸린 것을 잘 보살피고 돌보다.

2) 물건을 잘 거두어 보호하다.



16


항구,  소리,  배


[연상 쓰기]

17


말이나 행동을 몹시 이랬다저랬다 하다.


[관용구]

18


1) 무릎의 아래

2) 어버이나 조부모의 보살핌 아래.

3) 부모의 보호를 받는 테두리 안.




19


타고난 것처럼 아주

- ' □□ 도깨비네'


[영상]

[공통 쓰기]

20


생긴 모양새

- '얼굴 □□□', '□□□가 특이하다'





동점

쓰기

문제